본문 바로가기
독서일기

동양 철학 - 성리학의 성즉리

by 원더르 2022. 6. 14.

성즉리란 무엇일까?

성즉리란 인간의 본성이 곧 이치라는 말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이치는 우주의 질서이며 동시에 가치의 근원이기 때문에 절대적 선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성즉리라는 말은 성이 곧 리를 말하는 것으로 그 본질이 같기 때문에 결국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는 말입니다. 인간의 본성이 선한 것은 이 리를 하늘로부터 부여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람에게는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선한 본성을 갖추어져 있습니다.

 

맹자가 인간의 본성이 원래 선하다고 주장한 이래로 맹자의 성선설은 유학의 중심사상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맹자 이후 모든 시대 또는 모든 유학자들이 이 이론에 동의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예를 들면 순자의 경우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성악설을 주장하였고, 양웅은 성에는 선도 있고 악도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이렇듯 많은 학자들이 인간의 성에 대해 여러 주장을 제기하였지만 송대의 학자가 나오기 전까지 주요한 주제가 되지 못하였습니다.

 

송대에 이르러 주희는 이정의 '성즉리'설을 기준으로 해 맹자의 성선설 이론은 체계화 시킵니다. 그래서 주희는 사람의 본성이 막연하게 선한 것이 아니라 왜 선한지를 탐구합니다. 사람의 본성을 만물의 이치와 연결시켜 사람이 어떠한 존재인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이기론으로 설명합니다. 그 결과 주희는 사람이 모두 동등하게 리를 부여받았다는 관점을 제기하게 됩니다.

 

주희는 맹자의 성선설을 리라는 만물의 이치에 근거하여 성은 곧 리이고 선이다라는 이론을 세우게 됩니다. 이것이 사람이 본래부터 선한 진짜 이유인 것입니다. 이렇게 볼 때 성즉리는 맹자의 성선설을 이기 철학으로 체계화시킨 이론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성즉리의 핵심은 사람의 본성이 하늘의 이치와 같기 때문에 하늘이 내려주는 본성을 사람이 스스로 실현해서 도덕적 완성을 이루게 하는 실천적 의미를 갖는다는데 있습니다. 이것은 성리학의 학문 목적이 성인이 되는 것이라고 할 때, 성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누구나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성즉리와 대립적인 관계를 가진 심즉리를 알아보고 성즉리와의 차이점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주희는 사람의 마음을 리와 기의 결합된 구조로 이해합니다. 때문에 마음에는 리가 있지만 동시에 기도 있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마음에는 리와 동시에 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결코 리에 완전히 합치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주희는 마음을 리와 엄격히 구분하여 성즉리라는 명제만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심즉리는 하늘이 나에게 부여해준 것이 바로 마음이라는 입장입니다. 사람은 모두 이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마음에는 모두 리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즉 마음 그대로가 리라는 입장인 것입니다. 이것은 사람의 마음에는 하늘이 부여해준 리가 모두 갖추어져 있다는 말입니다. 주희가 마음 가운데 성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강조한 것과는 달리, 심즉리는 마음 전체를 그대로 리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 것입니다.

 

이렇게 볼 때 두 사람의 학문적 차이는 마음에 대한 해석의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희는 성에 해당하는 부분만 리로 해석하고, 심즉리는 마음 전체를 리로 해석한 것입니다. 그래서 심즉리의 경우 자신 안에 있는 마음을 잘 공부하면 된다고 설명합니다. 반면 주희는 외부 사물의 이치를 탐구해나가는 격물 궁리를 강조하게 됩니다. 

 

그래서 주희는 마음의 구조를 리와 기로 구성된 불완전 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독서를 통하여 외부세계의 이치를 널리 탐구하고, 내 마음속의 리를 완전한 것으로 만들어 나가고자 합니다. 그래서 주희는 독서를 강조하고 유가 경전을 읽는 것을 권장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