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일기

동양 철학 - 성리학의 이일 분수

by 원더르 2022. 6. 14.

이일 분수가 무엇일까?

성리학에서 말하는 이일 분수는 리가 하나의 측면과 리가 다양하다는 측면을 동시에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리가 하나의 측면이란 것이 '이일'이고, 하나인 리가 나누어져 다양하게 나타나는 측면이 '분수'입니다. 그럼 어떻게 리가 하나이면서 다양할 수 있는 것일까요? 말 그대로 해석하면 리는 하나인데 그것이 나누어져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결국 현상 세계 속의 수많은 모습은 하나의 리에 근원 한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이일 분수의 다른 말은 일본 만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근본은 하나인데, 그 하나의 근본에서 무수하게 다른 양상들이 전개된다는 것입니다.

이일 분수를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정이입니다. 정이는 사랑에 비유를 하게 되는데 사람이라면 마땅히 사랑해야 하는 것이 '이일'이고, 대상에 따라 차별적으로 대하는 것이 '분수'라는 것입니다. 사랑이라는 원칙에 하나 될 수 있으나 내 부모와 내 자식, 남의 부모와 남의 자식 사이에는 분명히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일'의 측면에서 사랑이 동일하더라도 '분수'의 측면에서는 사랑에 차등이 있다는 말입니다. 여기에서 이일 분수라는 표현이 처음으로 등장하게 됩니다.

주희는 정이의 이론을 받아들여 유가의 차등적 윤리관을 이일 분수라는 말로써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사람이든 사물이든 생명이 깃든 모든 것들은 모두 부모를 섬기고 자식을 보살피는데 이것이 '이일'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내 부모와 남의 부모를 섬기는 일이나, 내 자식과 남의 자식을 보살피는 일에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합니다. 내 자식을 먼저 보살핀 다음에 남의 자식에게까지 베푼다는 것입니다. 즉 내 부모를 먼저 섬기고 내 자식을 먼저 보살핀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내 부모, 내 자식을 대할 때와 남을 대할 때는 분명한 선후가 차등이 생기게 되는데 이것이 '분수'입니다.

정리하자면 부모를 섬기고 자식을 보살피는 것과 같은 도덕의 원칙은 같더라도, 그것의 구체적인 실천 내용을 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전자가 이일이며, 후자가 분수입니다. 이처럼 보편적 사랑을 이야기하면서도, 그것이 특정의 인간관계에 구체적으로 적용될 때에는 사랑의 차등이 생기는데, 이러한 관계를 주희는 이일 분수로써 설명한 것입니다. 보편적 사랑의 이치는 하나이지만 사랑의 구체적인 실천은 다르다는 것입니다.

'이일'이라는 사랑의 원리가 있기 때문에 부모를 섬기거나 자식을 보살피는 사랑이 가능하고, '분수'라는 사랑의 차등이 있기 때문에 사랑함에 반드시 선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분수의 차등이 심화하여 신분 등급과 계급적 등급으로 구별되게 됩니다. 이로써 가정과 국가는 변하지 않는 상·하의 질서가 존재하게 됩니다. 따라서 '분수'로 인한 차등은 국가사회를 유지하는 질서로 이어집니다.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의 오륜과 연결되고 이러한 분수 때문에 봉건적 신분 체계를 지탱하는 근거가 됩니다. 이렇게 볼 때 이일 분수는 인간관계의 다양한 질서와 그것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이일 분수는 주로 '이일'이라는 '같음'이라는 성질보다, 분수라는 '다름'의 성질에 강조점을 두고 전개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