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일기

동양 철학 - 심성론의 성

by 원더르 2022. 6. 14.

성이란 무엇일까요?

성이란 사람의 타고난 성품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본성이라고 해석합니다. 예로부터 성에 대한 여러 해석이 있는데 성을 선하다고 말하는 성선설과, 성을 악하다고 말하는 성악설 등이 대표적입니다. 그렇지만 성리학에서는 사람마다 선천적으로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전제합니다. 

 

주희는 이 세상의 모든 존재를 리와 기의 구성으로 설명합니다. 그래서 사람과 사물이 생겨날 때에 모두 기를 받아서 형체를 이루고 리를 받아서 본성을 이룬다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성이란 리가 세계에 있다가 일정한 형체에 부여된 뒤에 생긴 명칭입니다. 따라서 모든 사물에는 성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주희는 세상에는 성이 없는 것이 없다고 설명합니다. 이렇게 볼 때 실체는 바로 리이지만, 성이라고 말할 때는 특히 사물과 관련하여 말한 것이 됩니다. 왜냐하면 성이란 바로 사물 속에 내재하고 있는 리를 뜻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천지의 리와 사물 속의 성은 그 성질이 같습니다. 이것을 물속에 물고기에 비유하여 설명하기도 합니다. 물속에는 물고기가 있는데, 이때 물고기 속에 있는 물은 몸 밖의 물과 속성이 같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천지 속의 리든 사람이나 사물 안의 성은 그 성질은 같다는 말입니다. 여기서 바로 '성이 바로 리이다', 즉 성즉리라는 성리학의 중요한 명제가 제기됩니다.

 

사물과 마찬가지로 사람도 이러한 천지의 리를 부여받아 태어나므로 사람 속에 부여된 성은 선합니다. 왜냐하면 사람의 성은 천지의 리에 근원하고 있고, 리는 우주의 질서이자 가치의 근원으로 절대선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사람이 선천적으로 선한 품성을 지녔음을 말해줍니다. 절대선이 나에게 들어와 성이 되었으니 나 역시 내면적으로 선함을 가지고 있는 존재인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는 문제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리는 우주 법칙이며, 자연 질서이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선한데, 성은 기속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기의 구속을 받지 않을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기의 구속을 박기 때문에 선할 때도 있고 불선 할 때도 있습니다. 이것은 현실에서 악이 없을 수 없는 인간의 모습을 반영한 것입니다. 여기에서 본연지성과 기질 지성의 개념이 등장하게 되는 복선이 깔리게 됩니다. 

 

그렇지만 엄밀히 말하면 성은 사람에게 제한됩니다. 일반적으로 사물에서는 성이라고 부르지 않고 리라고 부릅니다. 성이란 마음을 가진 사람의 경우를 가리킵니다. 그래서 주희는 마음에 있어서는 성이라 부르고, 사물에 있어서는 리라고 부른다고 못을 박았습니다.

 

그렇다면 성리학의 주요 개념인 명과의 관계는 어떨까요? 주희는 명이든 성이든 모두 리를 말한다는 것으로 통일합니다. 하늘과 사람 사이에 명과 성이라는 경계가 존재하지만 그 리는 하나라는 것입니다. 리는 하나인데, 말하는 입장에서 따라 다르게 표현된 것일 뿐이라 설명합니다. 하늘이 부여한 것으로 말하면 '명'이 되고, 사람과 사물이 부여받은 것으로 말하면 '성'이라 하는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사람과 사물의 입장에서 보면 모두 하늘에서 성을 부여받은 것이고, 하늘의 입장에서 보면 하늘이 사람과 사물에게 명을 부여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명과 성은 그 본질이 같으며, 모두 리를 다른 입장에서 말한 것에 불과한 것입니다. 이렇게 보면 명, 성, 리는 하나입니다.

 

 

댓글